본문 바로가기
입찰정보/입찰초보

복수예가와 예정가격 활용[나라장터 입찰 완전정복]

by okEMS 2021. 4. 1.

[필수 입찰자료 받아보기]


안녕하세요 나라장터보다 많이 보는 사이트 okEMS 옥대리입니다~

오늘은 입찰 용어 예비가격과 예정가격에 대해 설명해 드리고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보여드리려고 하는데요

입찰 참여가 어려운 업체는 이번 포스팅을 통해 많은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그럼 바로 확인하러 가볼까요?


 

어려운 입찰 용어

 

입찰 경험이 많지 않은 입찰업체의 경우 비슷한 단어들 때문에 더욱 입찰이 낯설게 느껴지셨을 거예요

특히나 복수예가처럼 복수예비가격의 줄임말이 사용되다 보니 어려움은 더욱 크게 느껴지셨을 거예요!

아직 단어 자체 어려운 분이 계시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어 입찰자료 혹은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입찰자료집 다운받기]

 


나라장터 예가란?

위 예시에서의 '예가'는 예비가격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예가'의 경우에는 문맥에 따라 뜻이

'예정가격' 혹은'예비가격'으로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히 파악하셔야 합니다.

 

예비가격

예비가격이란 '예정가격'을 결정하기 위해 기초금액을 기준으로 산정범위 내에서

발주처 재무관(계약담당자)이 임의로 작성한 가격을 말하며

총 15개의 예비가격을 산정함으로 이를 복수예비가격(복수예가)라고 부릅니다.

복수예비가격을 작성하는 보편적인 방법

지자체(지방자치단체)의 경우

0% ~ +3% 범위 내에서 7개,

0% ~ -3% 범위 내에서 8개의 가격을 작성합니다.

조달청의 경우

+2% ~ +1.34% 범위 내에서 7개,

-2% ~ -0.866% 범위 내에서 7개

+0.133% ~ -0.133% 범위 내에서 1개를 작성합니다.

산정범위의 경우, 예정가격을 추정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이므로 꼭 알아두셔야 합니다.

예정가격

예정가격이란 15개의 복수예비가격(복수예가) 중 추첨된 상위 4개의 평균금액을 의미합니다.


예정가격 산정 과정

1. 공고상에서 기초금액을 공개한 후 재무관(계약담당자)이 예비가격 산정범위 내에서

복수예비가격(복수예가)를 산정합니다.(가격은 무작위로 저장됩니다.)

2. 산정된 복수예가(복수예비가격)업체 투찰 시 어떤 가격이 있는지 알 수 없게 가려져 있고

투찰업체는 임의로 예비가격 번호 2개를 선택하게 됩니다.

3. 이후 개찰 시, 복수예가(복수예비가격) 중 많은 선택을 받은 복수예가 4개의 평균값으로

예정가격을 선정하게 됩니다.

* 선정된 예정가격을 기준으로 낙찰하한율이 정해지게 되고

낙찰하한율 이하의 금액으로 투찰했다면 입찰에서 바로 탈락하게 됩니다.


오늘은 예비가격과 예정가격에 대해 설명해 드렸는데요!

낙찰자 결정에 가장 큰 영향이 있는 만큼 예비가격과 예정가격 개념을 확실하게 알고

예정가격을 분석할 줄 알아야 합니다.

오늘 설명해드린 예가 분석이 어렵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어 okEMS에서 예가 분석을 활용해 보세요.

예가 분석부터 투찰금액 결정까지 한 번에 도와줍니다.(아래 링크를 클릭해 주세요)

 

[필수 입찰자료집 다운받기]

(회원가입 시 7일간 무료로 사이트 이용이 가능합니다!)

 

그럼 옥대리는 다음 시간에 또 찾아올게요 문의사항은 아래의 번호로 전화 주세요

지금까지 나라장터보다 많이 보는 사이트 okEMS 옥대리였습니다~

배너를 클릭하시면 입찰 사이트 okEMS로 이동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