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입찰정보/입찰초보

사정률(율)개념과 입찰가격 계산[나라장터 입찰 완전정복]

by okEMS 2021. 4. 5.

[필수 입찰자료 받아보기]


안녕하세요 나라장터보다 많이 보는 사이트 okEMS 옥대리입니다~

오늘은 사정률(사정율)과 입찰가격에 대해 설명해 드리려고 하는데요.

입찰금액 계산에 많은 혼동이 왔던 업체들은 이번 포스팅을 통해 많은 도움 얻으시길 바랍니다.

그럼 지금부터 사정률(사정율)과 입찰가격을 알아보러 가볼까요~?


사정률(사정율)은 무엇인가요?

 

사정율(사정율)은 예정가격을 기초금액으로 나눈 비율을 말합니다.

발주처마다 공사 금액 범위를 %로 구분하고 이 범위 안에서 업체 간 입찰 경쟁을 유도합니다.

기초금액과 투찰률은 공고에서 정해진 값이기 때문에 업체가 예상한 사정률(사정율)이

얼마나 낙찰하한율에 가깝냐에 따라 1순위가 결정되므로

입찰금액 산정에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볼 수 있습니다.

 

사정률(율) 분석이 어렵다면 입찰 분석프로그램 낙찰쿡을 이용해 보세요!

[무료가입혜택 받기]


 

사정률(사정율)표기와 발주처별 사정률(율)

 

 

사정률(사정율)은 표기 기준에 따라 다르게 표기 됩니다.

예를 들어 사정률(사정율)의 기준이 100%라고 했을 때 99.123%라고 사정률을 표기했다면

사정률(사정율)기준이 0% 일 땐 -0.877%(100-99.123)으로 표기됩니다.

 

± 2% = 조달청,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전력공사, 군기관, 한국농어촌공사, 한국마사회 등

± 2.5% = 한국수자원공사, 한국가스공사, 철도공사

± 3% = 지자체(행안부), 한국도로공사 등

또한 사정률의 범위는 발주처 별, 공고별로 상이하기 때문에 해당 공고문에서 꼭 확인하고 넘어가야 합니다.


입찰가격 작성 방식

 

앞에서 말씀드렸다시피 기초금액과 투찰률은 해당 공고에서 정해진 값이기 때문에

1순위 업체가 되기 위해서는 낙찰 하한율에 가까운 사정률(율)을 예측하여 입찰 가격을 작성해야 하는데요

분석을 통해 사정률(율)을 정하셨다면 아래 공식에 대입하여 입찰가격을 작성해 주시면 됩니다.

 

 

A값 미적용 입찰가격 = 예정가격 x 투찰률

A값 적용 입찰가격 = {(예정가격 - A) x 투찰률} + A

A값 적용(LH공사) 입찰가격 = [{(기초금액 – A) x 사정률(율) + A} – A] x 투찰률 + A

* 예정가격 = 기초금액 * 사정률(율)

특히 입찰가격을 작성할 때 순공사원가가 적용되는 공사의 경우

순공사원가 X 사정률 X 0.98의 산식에 대입하여 입찰가격이 순공사원가의 100분의 98 미만보다

작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순공사원가에 대한 포스팅은 아래 글을 참고해 주세요.

 

순공사원가와 낙찰제외기준금액은?

[순공사원가 정보 받아보기]안녕하세요 나라장터보다 많이 보는 사이트 okEMS 옥대리입니다~최근 조달청...

blog.naver.com


오늘은 사정률(사정율)과 입찰가격에 대해 설명해 드렸는데요!

1순위 결정에 가장 큰 영향이 있는 만큼 발주처별 사정률(율)을 확실하게 알고 입찰가격을 작성할 줄 알아야 합니다.

오늘 설명해드린 사정률(율) 분석이 어렵다면 입찰사이트 okEMS에서 무료 분석프로그램을 사용해 보세요.

[필수 입찰자료 받아보기]

(회원가입 시 7일간 무료로 사이트 이용이 가능합니다!)

그럼 옥대리는 다음 시간에 또 찾아올게요 문의사항은 아래의 번호로 전화 주세요

지금까지 나라장터보다 많이 보는 사이트 okEMS 옥대리였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