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나라장터보다 많이 보는 사이트 okEMS 옥대리입니다~
오늘은 지자체 적격심사 점수 계산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하는데요!
적격심사 자동계산 바로가기
준비한 지방자치단체 적격심사(예시공고)는 수행능력 평가(20점)와 입찰가격 평가(80점) 두 가지로 나누어지는데요
오늘은 그중에서도 적격심사 입찰가격 점수 계산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아마 이 글을 보고 계신 분들은 입찰이 생소하신 분들이실 텐데요!
이번 포스팅을 순서대로 따라 하신다면 어려움 없이 적격심사에 통과하실 수 있으실 거예요!
그럼 지금부터 적격심사 입찰가격 점수 계산 방법을 알아보러 가볼까요~?
01. 공고문 확인하기!
적격심사 점수 계산 - 공고문 확인하기
적격심사 점수 계산 - 공고문 확인하기
업체가 참여할 공고를 정했다면 공고에 첨부된 공고서를 확인해야 합니다
특히 입찰을 집행하면서 낙찰자를 어떤 기준에 맞춰서 어떻게 결정하는지(적격심사방법) 꼭 확인해야 합니다!
실제로 1순위로 낙찰된 업체가 적격심사를 통해 낙찰 취소되는 경우가 있으니 정확하게 확인해야겠죠?
예시 공고문을 하나 가져왔습니다.
오늘은 여기서 4. 예정가격 및 낙찰자 결정 방법 항목을 같이 볼 거예요(다른 항목들도 중요하니까 꼭 확인해 주세요!)
빨간색 박스에 있는 내용을 꼭 확인해 주세요
1. 적격심사 대상공사
2. 지방자치단체 입찰 시 낙찰자 결정기준
3. 예정가격 이하, 낙찰 하한율 이상
4. 종합평가 95점
적격심사 기준 항목
1. 적격심사 대상공사 - 정부 발주공사에서 업체의 기술능력과 입찰 가격을 심사하는 공사라는 뜻이에요.
2. 지방자치단체 입찰 시 낙찰자 결정기준 - 적격심사 진행시 지방자치단체 낙찰자 결정기준을 따른다는 뜻이에요.
* 예를 들어 조달청 입찰 시 낙찰자 결정기준이라고 명시되어 있다면 그땐 조달청 적격심사 기준서를 찾아봐야 해요!
발주처마다 낙찰자 결정 기준이 다르니 꼭! 공고문에서 명시된 기준서를 찾아주세요!
3. 입찰가격의 범위를 정하는 뜻이에요.
4. 100점 만점 기준이 아닙니다. 95점 이상은 모두 만점이란 뜻이에요.
02. 입찰금액 점수 계산하기
적격심사 - 입찰가격 점수 산식
95점 만점을 기준으로 했을 때 입찰가격 점수는 75점 이 되어야 합니다.(해당 공고상)
즉, 80-20 X [(88/100) - (입찰가격-A/예정가격-A)] x 100 = 75가 되어야 하겠죠!
혹시 95점 만점이라고 했을 때 이런 생각 하셨나요?
"적격심사에서 수행능력평가는 15점이니까 입찰가격 점수를 80점 맞는 금액을 써 내야겠다!"
이렇게 말씀하시면 참 곤란한데요! 왜냐하면 입찰가격 점수가 80점이 될 경우
적격심사는 통과되지만 낙찰과는 멀어지기 때문입니다!
자료를 가지고 왔는데요!
참여업체가 많은 입찰의 경우, 1순위 입찰금액이 대부분 낙찰률에 거의 근접해 입찰금액 여유가 없습니다.
즉 수행능력평가에서 점수가 빠지게 되면 차순위로 넘어갈 확률이 높아진단 뜻이겠죠?
즉 1순위 낙찰을 받기 위해서는 수행능력평가에서 만점을 받고
낙찰하한율(예정가격 대비 낙찰받을 수 있는 최저가격을 결정하는 백분율) 이상으로 가장 낮은 금액을 투찰해야 합니다.
오늘은 적격심사 점수 계산 방법 중 입찰가격 점수에 대해 알려드렸는데요
1순위 낙할 후에도 적격심사에 탈락해서 낙찰 취소가 될 수 있는 만큼 중요한 사항이니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입찰정보사이트 okEMS에서 적격심사 자동계산 서비스를 제공하여 공고별로 필요한 계산을 손쉽게 하실 수 있습니다.
적격심사에 자동계산이 필요하시다면 링크를 클릭, 적격심사 자동계산 기능을 이용해보세요
적격심사 자동계산 바로가기
그럼 옥대리는 다음 시간에 또 찾아올게요 문의사항은 아래의 번호로 전화 주세요
지금까지 나라장터보다 많이 보는 사이트 okEMS 옥대리였습니다~
적격심사 - 입찰가격점수 계산
적격심사 입찰가격 점수계산
'입찰정보 > 입찰초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라장터 신규업체가 궁금해하는 입찰 참가 자격 QnA (0) | 2021.03.05 |
---|---|
입찰금액 산출 시, 소수점 처리 방법은? (0) | 2021.02.26 |
조달청 적격심사 개정사항 정리하기(시행 21.02.15) (0) | 2021.02.18 |
공동도급 종류와 방식 쉽게 이해하기 (0) | 2021.02.08 |
공동수급협정서 작성방법 및 승인방법 (0) | 2021.02.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