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찰하한율 #낙찰율 #낙찰하한률 #낙찰률#투찰금액 #입찰금액 #입찰분석 #조달청입찰 #okems
[최신 발주처별 적격심사 기준서 모음 자료받기!]
안녕하세요! 스마트한 입찰사이트 okEMS 옥대리입니다.
"낙찰률? 낙찰율? 낙찰하한율? 낙찰하한률? 뭐가 맞는 말인가요?"
정답은 낙찰률! 낙찰하한율! 입니다. 앞으로 사용시 실수하지 마세요!
이렇게 많은 분들이 헷갈리는 낙찰률=낙찰하한율, 도대체 무슨 뜻일까요?
오늘 포스팅에서는 낙찰하한율의 개념과 계산 방법, 그리고 낙찰하한율 간편 확인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낙찰하한율 뜻
낙찰하한율이란?
- 입찰가격 이외의 다른 심사항목의 점수가 만점이라는 가정하에, 적격심사 통과 점수를 만족시키는 최저 투찰률(공사 규모별 다름)을 말합니다.
낙찰하한가란?
= 예정가격 x 낙찰하한율(투찰률)
= 144,400,125 x 87.745%
= 126,703,890원(소수점 이하는 절상 처리)
※ 낙찰하한가 미달이란 예정가격 대비 낙찰하한율보다 낮게 투찰한 금액을 뜻하며 적격심사 평가 대상에서 제외됨
2. 낙찰하한율 산정 방법
낙찰하한율 산정 방법은?
▶ 조달청 낙찰하한율 기본 공식 = 입찰가격 ÷예정가격×100%(낙찰 예정가격 대비 투찰가격의 비율)
1) 수행능력 만점이 10점이므로 입찰가격에서 85점을 득점하면 적격통과 점수인 95점이 됩니다.
2) 입찰가격 평점산식을 정리하면
1. [88/100 × 100 - (입찰가격-A)/(예정가격-A)×100]이 됩니다.
2. [(입찰가격-A)/(예정가격-A)×100]은 예정가격에 대한 입찰가격의
투찰률이 되므로 이를 미지수 X로 하면
① 90 - 20 x ㅣ88 - X ㅣ = 85
② - 20 x ㅣ88 - X ㅣ= -5
③ㅣ88 - X ㅣ= 0.25이며, X = 87.75(%)와 88.25(%)가 산출됩니다.
3) 조달청 낙찰하한율은
1. 적격통과 점수를 만족하는 최저 투찰률이므로 하한 값인 87.75%입니다.
2. 입찰가격을 예정가격으로 나눈 결과 소수점 이하는 소수점 다섯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평가하므로 87.745(%)가 됩니다. 즉, 당초 값은 0.87745인데 백분율을 적용하므로 87.745(%)가 됩니다.
3. 낙찰하한율 간편 확인 방법
공고별 낙찰하한율 간편하게 확인하는 방법은?
▷입찰정보사이트 okEMS에서 공고별 낙찰하한율 및 필수 정보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업체별 투찰금액에 따른 투찰률 및 기초금액 대비 투찰률, 업체별 사정률까지 계산되어 제공되어 공고 결과를 분석하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낙찰하한율의 개념과 계산 방법 잘 보셨나요?
개찰 공고의 낙찰하한율을 잘 이해하고 참여할 공고에 적용하면 낙찰의 실수도 줄일 수 있습니다!
필수 입찰자료만 모아둔 okEMS 자료실에 모든 발주처의 최신 적격심사 기준을 모아둔 자료를 올려두었으니
업무에 참고해 주세요!
▶22년 9월 기준 발주처별 적격심사 기준 모음!
지금까지 쉽고 빠르며 믿을 수 있는 입찰사이트 okEMS 옥대리였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입찰정보 > 입찰초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찰사이트 어디가 좋을까? 낙찰 잘되는 입찰정보사이트 선택 꿀팁! (0) | 2022.08.24 |
---|---|
[쉽게 이해하는 적격심사] A값과 입찰점수 계산 (0) | 2021.11.30 |
옥대리가 알려주는 입찰의 모든 것! (0) | 2021.11.29 |
적격심사 발주처 별 가산점 확인하기 (0) | 2021.11.09 |
[간이종심제] IBK 하남데이터센터 신축 전기공사 무료교육 (0) | 2021.10.30 |
댓글